![[논리와 회로설계] 논리 연산 (불 대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wjSW%2FbtsMNj62VoC%2FZQ99emUNS1EUIAGXh6dlEK%2Fimg.png)
[논리와 회로설계] 논리 연산 (불 대수)Computer Science/Logic & Circuit2025. 3. 18. 15:14
Table of Contents
반응형
이 글과 시리즈는 대학 수업의 Fundamentals of Logic Design 교재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불 대수
- 논리회로를 위한 기본적인 수학 연산
- 0과 1만 사용
기본 연산
NOT ( Inverter )

- 입력을 반대로 뒤집는다고 생각하면 쉽다.
AND

- 논리곱
- 둘 다 참일때만 결과가 참이다.
0 | 0 | 0 |
0 | 1 | 0 |
1 | 0 | 0 |
1 | 1 | 1 |
OR

- 논리합
-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가 참이다.
0 | 0 | 0 |
0 | 1 | 1 |
1 | 0 | 1 |
1 | 1 | 1 |
Apply to Switch
은 스위치가 open 상태- 전기가 안통함
은 스위치가 close 상태- 전기가 통함
기본 이론과 법칙 정리
0, 1 연산 정리
멱등 법칙 ( Idempotent Laws )
대합 법칙 ( Involution Laws )
보 법칙 ( Complementary Laws )
교환 법칙 ( Commutative Laws )
결합 법칙 ( Associative Laws )
분배 법칙 ( Distributive Laws )
- \(X + YZ = (X + Y)(X + Z)
- 불대수에서만 허용. 일반수학에서는 성립하지 아니함.
드모르간 법칙 ( DeMorgan's Laws )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ogic & Circu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와 회로설계] 배타적 논리합 및 동치 연산 (0) | 2025.03.22 |
---|---|
[논리와 회로설계] 전개와 인수분해 (0) | 2025.03.22 |
[논리와 회로설계] 이진 코드 (0) | 2025.03.17 |
[논리와 회로설계] 이진수와 진법변환 (0) | 2025.03.17 |
[논리와 회로설계] 디지털 시스템과 스위칭 회로 (0) | 2025.03.16 |
@현주씌 :: 현주.로그
소프트웨어학과 현주씌의 일상을 담는 블로그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