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
Coding/Algorithm2025. 1. 8. 14:25[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

Intro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이다.이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정의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인 점근 표기법에 대해 서술한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어떻게 판단할까?크게 정확도와 효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그 중 효율성은 시간 효율성과 공간 효율성으로 나뉜다. 시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시간 복잡도를 사용하고,공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공간 복잡도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개 공간복잡도의 상한은 시간복잡도이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를 많이 사용한다. 시간 복잡도의 정의시간복잡도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현하는 것 CS(컴퓨터과학/공학) 분야에서 시간복잡도란 프로그램의 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알고리즘으로 한정해서 이야기를 한다면..

[WSL]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개념부터 설치까지
Infra/OS2024. 3. 24. 20:25[WSL]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개념부터 설치까지

이 글의 내용은 Microsoft Learn의 WSL 파트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의 약자로, 윈도우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합니다. WSL 1 vs WSL 2 WSL 1에 비해 WSL 2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WSL 1은 윈도우 커널 위에 리눅스 커널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변환계층으로 실행됩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에뮬레이터가 WSL 1이다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듯합니다. WSL 2에서는 Hyper-V 기능의 하위 집합을 통해 실행되는 실제 리눅스 커널을 포함하여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파일 I/O 성능 역시 WSL 2가 훨씬 빠릅니다. 기능 WSL 1 WSL 2 Windows와 ..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