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oM7H4%2FbtsLG5nSp3h%2FAAAAAAAAAAAAAAAAAAAAAKmH9Mr1AD0E11wVcTo7fPr1IkieUHhgyHeHjXFYT6aa%2Fimg.webp%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eCgMEWAASrJ792Prvp0ys4HNvw%253D)
트랜잭션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말한다.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의미한다.데이터베이스 연산에는생성(INSERT)조회(SELECT)업데이트(UPDATE)삭제(DELETE)가 있다. 여기서 작업 단위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작업 단위는 논리적으로 여러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하나로 묶은 걸 말한다. 예시로 이체 과정이 있다. '현주'가 '재혁'에게 밥값 2만원을 송금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이때 데이터베이스에서는1. '현주'의 계좌에서 2만원을 출금2. '재혁'의 계좌에 2만원을 입금이 2가지 연산을 해야 한다. 이 2가지 연산은 논리적으로 '..

Problem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parts/12077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연구실에 있는 \( N \) 마리의 폰켓몬 중, \( \frac{N}{2} \) 마리를 가져가도 된다.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이중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가져갈 때, 그 종류의 개수를 return 해야 한다. Input / Output Example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이다. nums: [3,1,2,3]output: 2Solution 해당 문제는 해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다.즉 해시를 사용..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3dZBq%2FbtsLG4B8LdP%2FAAAAAAAAAAAAAAAAAAAAALlkbl6Xqa5dPIZvy_PU0GbHaKYB9hEbbKagXrBjp5wy%2Fimg.webp%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716pYO8fKMbDbtNEeRqoSwtn7%252Fc%253D)
Intro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이다.이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정의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인 점근 표기법에 대해 서술한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어떻게 판단할까?크게 정확도와 효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그 중 효율성은 시간 효율성과 공간 효율성으로 나뉜다. 시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시간 복잡도를 사용하고,공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공간 복잡도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개 공간복잡도의 상한은 시간복잡도이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를 많이 사용한다. 시간 복잡도의 정의시간복잡도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현하는 것 CS(컴퓨터과학/공학) 분야에서 시간복잡도란 프로그램의 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알고리즘으로 한정해서 이야기를 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