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리즘] 기본적인 정렬 알고리즘 - 버블정렬
Coding/Algorithm2025. 1. 11. 22:03[알고리즘] 기본적인 정렬 알고리즘 - 버블정렬

Intro이 글에서는 기초적인 정렬 알고리즘인 버블정렬에 대해 정리한다.버블 정렬은 평균적으로 \( O(n^2) \)의 시간복잡도를 갖고 있다. 혹시나, 시간복잡도에 대해 모른다면 아래 글을 읽고 오자.https://stringju.tistory.com/7 [알고리즘 #1]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Intro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이다.이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정의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인 점근 표기법에 대해 서술한다. 알고리즘의 성능을stringju.tistory.com 버블 정렬버블 정렬의 개념은 순서가 잘못된 인접한 두 수를 교환하는 것이다. [10,3,7,4,9] 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이 있고, 이를 오름차순(값이 작은 것 부터 나열)으로 정렬하자. 첫..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
Coding/Algorithm2025. 1. 8. 14:25[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점근 표기법

Intro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이다.이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정의와 이를 표현하는 방법인 점근 표기법에 대해 서술한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어떻게 판단할까?크게 정확도와 효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그 중 효율성은 시간 효율성과 공간 효율성으로 나뉜다. 시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시간 복잡도를 사용하고,공간 효율성을 나타낼 때는 공간 복잡도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개 공간복잡도의 상한은 시간복잡도이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를 많이 사용한다. 시간 복잡도의 정의시간복잡도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현하는 것 CS(컴퓨터과학/공학) 분야에서 시간복잡도란 프로그램의 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알고리즘으로 한정해서 이야기를 한다면..

반응형
image